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pring
- PYTHON
- LCS
- Gold4
- mysql
- leetcode 69
- 배포
- 개념
- siver3
- LEVEL1
- Thymeleaf
- java
- 프로그래머스
- HTML
- 9252
- 백엔드
- glod4
- CSS
- jpa
- leetcode
- AWS
- 백준
- gold2
- error
- 구현
- 오류
- gold5
- glod5
- Kakao
- LEVEL2
- Today
- Total
이 험난한 세상에서어어~
동적 계획(Dynamic Programming, DP), Python 본문
간단한 소개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이란 단순하게 말해서 이전에 생성한 값을 가져다가 쓰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서 1과 2만을 가지고 N이라는 숫자를 만든다고 생각해보자. 이때 N이 3이라면 '1+1+1', '1+2', '2+1'이라는 경우의 수가 나올 것이다. N이 4라면 어떻게 될까. '1+1+1+1', '1+2+1', '2+1+1', '1+1+2', '2+2'이라는 경우의 수가 나온다. 이렇게 일일히 세줄 수도 있지만 N이 1억일 경우에는 그 연산의 횟수가 너무 커져 시간이 많이 걸린다. 바로 이럴 때 동적 계획을 이용하면 연산 횟수를 줄이면서 빠르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위의 문제를 동적 계획으로 푸는 방법을 소개한다.
N = 1
'1' -> 1개
N =2
'1+1', '2' -> 2개
N = 3
'1+1+1', '2+1', '1+2', -> 3개
여기서 주목할 점은 바로 각 경우의 수 맨 뒤에 있는 숫자이다. '1+1+1'에서 맨 뒤에 있는 숫자 1을 빼고 앞에 두 숫자를 더하면 2가 된다. 또한 '2+1'에서 맨 뒤에 있는 숫자 1을 뺀 나머지 숫자는 2이다(값이 하나이므로 더할 필요가 없다). '1+2'의 경우에는 맨 뒤의 숫자 2를 빼면 나머지 숫자는 1이 된다. 무언가 느껴지는 게 없다면 다음 숫자 4를 보도록 하자.
N=4
'1+1+1+1', '1+2+1', '2+1+1', '1+1+2', '2+2' -> 5개
먼저 맨 뒤 숫자가 1인 경우의 수는 '1+1+1+1', '1+2+1', '2+1+1'이 있다. 여기서 맨 뒤의 1을 빼고 나머지 숫자를 더하면(1+1+1=3, 1+2=3, 2+1=3) 전부 3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저렇게 풀어서 쓰여 있지만 결국에는 '3+1'이 세 번 나온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바로 위에서 구해 놓은 N이 3일 때의 경우의 수를 확인해보자.
N이 3일때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는 '1+1+1', '2+1', '1+2'이고 N이 4일때 맨 마지막 숫자가 1인 경우의 수는 '(1+1+1)+1', '(2+1)+1', '(1+2)+1'이다. 바로 N이 3일때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가 그대로 N이 4일때 1만 붙여서 사용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맨 마지막 수가 2일때를 확인해보면 '1+1+2', '2+2'이고 이는 '(1+1)+2', '(2)+2'로 볼 수 있다. 해당 경우의 수 중 가로를 친 부분은 2이기에 자연스럽게 N이 2일때의 경우의 수가 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N이 4일때 1과 2로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는 (4-1로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 + (4-2로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되는 것이다. 이 식을 일반화시킨다면 (N-1의 경우의 수) + (N-2의 경우의 수)로 만들 수 있다. 때문에 이전에 만든 경우의 수를 알고 있다면 N의 값을 쉽게 구할 수 있다.
이렇게 동적 계획법을 이용해서 문제를 푸는 방법은 총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Bottom-up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Top-down방식이다. 전자는 일반 반복문을 사용하고 후자는 재귀 함수를 이용한다.
바텀 업(Bottom-up)
내가 위에서 소개한 문제 풀이 방식이 바로 바텀 업 방식이다. N이 주어졌을 때 나는 문제를 N에서부터 접근하지 않고 1에서부터 접근했다. 맨 아래부터 시작해 목표 지점까지 도달하는 방식을 이용한 것이다. 즉, 이것이 아래에서부터 위로 올라가는 바텀 업 방식이다.
사실 나는 재귀를 풀 때 제일 먼저 바텀 업 방식을 생각한다. 제일 직관적이면서 점화식을 빠르게 생각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적어도 나는.
탑 다운(Top-down)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바텀 업과 다르게 탑 다운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간다. 이는 재귀 함수로 구현할 수 있다. 다이나믹 프로그래밍하면 무조건 나오는 문제 피보나치 수열을 보면서 이해해보자.
피보나치 수열이란 이전 두 수를 합해서 현재의 수를 만드는 수열이다. 점화식은 An = An-1 + An-2로 만들 수 있다. 재귀로 푼 코드를 보자면
dp = [0 for _ in range(10)]
def fib(n):
if n == 0:
return 0
elif n == 1 or n == 2:
return 1
elif dp[n] != 0:
# 만일 이전에 계산한 값이 있으면 그 값을 이용한다.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return dp[n]
dp[n] = fib(n-1) + fib(n-2)
return dp[n]
이렇게 원하는 숫자 n에서부터 -1과 -2만큼 내려가 0, 1, 2까지 도달한 다음에 차례대로 위로 올라가는 방식을 알 수 있다. 또한 dp[n]이 0이 아니라 이전에 계산한 값이 존재하면 굳이 계산하지 않고 이전에 구한 값을 이용해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접근 방법
바텀 업 방식을 이용해서 내가 DP를 접근하는 방식을 설명하자면. 사실 나도 DP 문제 나오면 능숙하게 풀지는 못하는데... 흠흠.
1. 일단 Bottom-up 방식을 이용할 것이기에 제일 아래에 존재해야 할 수를 생각해준다.
2. 맨 아래 있어야 할 수가 정해지면 그 수들을 이용해서 만들 수 있는 다음 수를 생각한다.
3. 보통은 2에서 점화식이 잘 나오지 않기 때문에 2에서 생각한 수보다 더 큰 수들을 생각하면서 점화식을 완성한다. 이때는 종이와 팬을 가지고 경우의 수를 따져봐야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풀 수 있다.
4. 점화식이 구해지면 반복문을 이용하여 코드를 구현한다.
문제
https://www.acmicpc.net/workbook/view/7836
참고로 말하자면 백준 9095는 '간단한 소개'에서 설명한 문제와 그 원리가 같다.
'algorithm > 유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etcode 287, Find the Duplicate Number (0) | 2023.09.19 |
---|---|
백준, 계단 수(1562, java) (0) | 2023.07.29 |
LCS(Longest Common Subsequence, 최장 공통 부분 수열) java (1) | 2023.07.29 |